올해도 폭염이 일찍 찾아오며 때 이른 에어컨 가동 등 전기사용이 급증하고 있는데요. '한전 에너지캐시백' 이라는 전기사용에 따라 캐시백을 받을 수 있는 정책이 인기입니다. 포스팅에서는 주택용 에너지캐시백 신청방법 , 환급기준 살펴보겠습니다.
한전 에너지캐시백 이란?
1) 주택용
▪신청대상 : 주택용(가정용) 고객 중 신청 주소지에 거주하는 것이 확인된 사용자(주민등록표상 구성원)
👉직전 2개년 사용전력량 중 최소 1개년 사용전력량이 있는 경우 참여가능
✔참여 제외 대상
- 고압아파트 개별세대 사용전력량 정보 미제출 고객
- 신규 전기사용 등으로 직전 1개년 동월분 사용전력량 자료가 없는 고객
- 한전이 시행하는 에너지절약 프로그램 참여 고객
▪신청방법 (주택용, 아파트)
온라인으로 상시 신청 가능
- 네이버 / 구글 등 포털사이트에서 '한전 에너지 캐시백' 검색
- 한전 고객센터(123) 문의시 신청경로 문자 수신
1. 한전 에너지 캐시백 홈페이지 접속

2. ID가 없는 고객은 회원가입 클릭
3. 일반주택 또는 고압아파트 개별세대의 경우 '개별세대 ' 유형을 선택하고 신청하기 클릭
4. 휴대폰 인증을 진행해 주세요.
5. 에너지캐시백 가입을 위한 동의사항 & 에너지캐시백 참여확인 클릭
6. 화면에 캐시백 참여 완료가 뜬다면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 적용시기
신청일이 속하는 월분 부터 적용(단, 23년 6월7일~8월 31일 내에 신청한 고객의 캐시백은 '23년 7월분 사용량부터 적용)
▪ 캐시백 지급기준
✔기본캐시백
최소절감률 3%와 동일지역 참여자 평균절감률 이상을 달성한 경우, 절감량 1kWh당 30원을 지급(단, 최대절감률 30% 한도로 지급)
✔차등캐시백
>>평균절감률과 상관없이 절감률 5% 이상 달성 시 30%를 한도로 하여 절감률 구간별로 1kWh당 30~70원을 차등 지급합니다.
절감률 | 5%이상 ~10%미만 | 10%이상 ~ 20%미만 | 20%이상 ~30% 이하 |
단가 | 30원/kWh | 50원/kWh | 70원/kWh |
▪캐시백 지급방법
매월 산정된 캐시백은 다음달 전기요금에서 차감하여 청구!
(캐시백 산정기간 중 주소지가 변경되거나, 해당 전기사용장소에 실거주하지 않는 고객은 캐시백 지급 제외)
2023년 장마기간 시작 종료일 (일본장마 엘니뇨 라니냐)
2023년 우리나라 장마기간 시작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대한민국은 일본 장마시작에 비하여 한달정도 늦게 시작되는데요. 2023년 장마기간 예상시기 및 올시즌 역대급으로 더울
reviewswagger.tistory.com
2) 공동주택 (아파트 단지 대상)
▪신청대상
- 고압아파트 입주자 대표회의 또는 관리 사무소
▪ 참여 제외 대상
- 신규 전기사용 등으로 직전 1개년 동월분 사용전력량 자료가 없는 고객
- 한전이 시행하는 에너지절약 프로그램 참여 고객
▪ 신청방법
온라인으로 상시 신청
▪ 사업기간
'23.7월 ~ '23.11월분 요금 반영기간
✅'24년부터 아파트단지 대상 에너지캐시백 폐지 예정
▪ 적용시기
신청일이 속하는 월분부터 적용(7월 신청 시 7월분, 8월 신청 시 8월분부터 적용 단, 6월 신청시 7월분부터 적용)
▪캐시백 지급방법
입주자 대표회의(또는 관리사무소) 계좌로 '23,12월에 현금으로 지급됩니다.
▪ 캐시백 지급기준
>> 최소절감률 3%와 동일지역 참여아파트 평균절감률 이상을 달성한 경우 달성한 절감량에 따라 구간별로 정액 지급합니다. (단, 절감량은 최대절감률 30% 한도로 산정)
>>절감실적에 대한 중복지급 방지를 위해 해당 아파트 단지 내 캐시백을 수령한 세대의 절감량은 차감하여 산정합니다.
>> 참여기간에 따라 구간별 지급금액은 월할 계산되며, 참여기간별 세부 지급 금액은 FAQ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절감활동기간 5개월인 경우 지급금액 (7~11월 절감활동) ]
절감량 (MWh) |
~10 이하 |
~25 | ~40 | ~60 | ~75 | ~90 | ~110 | 110초과 |
금액 (천원) |
200 | 525 | 975 | 1,500 | 2,025 | 2,475 | 3,000 | 3,300 |
주택용 에너지캐시백 이란 무엇인가요?
22년부터 도입된 제도로 주택용 고객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한
에너지 소비절약 의식 제고 및 전기요금 부담 완화를 위한 제도입니다.
참여 신청한 전기 사용자는 전기사용량을 절감한 경우
기준에따라 기본&차등 캐시백을 지급받습니다.아파트 단지 대상 에너지캐시백은 폐지되었나요?
22년부터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지급되었던
에너지캐시백은 올해'23.11월분까지 시행하며 내년부터는
폐지될 예정.캐시백 현금으로 받을 수 있나요?
기존에는 현금, 기부, 전기요금 차감 방식으로 지급되었으나 '23년 하반기부터는
전기요금 청구 시 차감하는 방식으로만 처리됩니다.
댓글